통합 자료실

제목 한국의 목회자 사례비 격차에 관한 연구
영문 제목 Pastoral Pay Differentials in Korea
저자 류재린 (Jae-Rin Ryu)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박사과정)
다운로드 pdf FS22(1) 005(류재린) 한국의 목회자 사례비 격차에 관한 연구.pdf (766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신학/철학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2권 1호 (통권 70호)
발행 년월 2017년 03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12-17차)」와 2015년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의 ‘부교역자의 사역현황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목회자들의 사례비 분포를 추정하고, 목회자 집단 내 다양한 사례비 격차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사례비는 일반 근로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회자 내 직급별 사례비 격차는 일반 근로자의 직급별 임금 격차보다 크다. 셋째, 목회자 내 성별 사례비 격차가 존재하며, 그 정도는 일반 근로자 내 성별 격차보다 크다. 넷째, 목회자가 소속된 기관의 크기가 클수록 목회자의 사례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에 따른 사례비 격차가 나타났는데, 이는 목회자의 소속 기관의 크기에 따른 사례비 격차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교회와 타기관의 소속여부에 따른 사례비 격차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목회자 사례비 격차의 원인은 목회자의 수급 불균형과 교단 차원에서 합의된 사례 체계의 부재이며, 목회자의 빈곤 해소와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사례비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 체계의 개선을 위해 대안적인 원칙 세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투명하여야 한다. 둘째, 직급보다는 필요가 우선시되어야 한다. 셋째, 다층적이고 포괄적이어야 한다. 현재의 목회자 집단 내 사례비 격차 문제를 개선하고, 목회자의 빈곤 해소와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사례 체계 개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 KLIPS(Korean Labor &Income Panel Study)data and ‘Survey on the Life and Ministry Status of Associate Pastor in Korea’ to offer six contributions to knowledge about pastor compens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stor earn less than comparable workers with similar soci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compensation differentials by job positions in pastor is larger than the general workers. Third, gender compensation differentials in the pastor appears, and the degree is larger than the gender wage differentials in workers. Fourth, the compensation is larger by size of the church to which the pastor belongs. Fifth, regional wage differentials appears, which seems to be due to the wage differentials by the size of the church. Sixth, the differences between earning of pastor working in churches and that of pastor working elsewhere is not founded. The compensation differentials in pastors is caused by the imbalance of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pastor and the absence of the compensation system agreed at the denomination level.
In this study, three alternative compensation system principles are presented. First, it must be clear and fair. Second, need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job positions. Third, it must be inclusive and comprehensive. There is a serious problem of inequality in the pastor compensation and there is a need for further discussion on improvement of the compensation system in order to prepare measures such as pastoral poverty and oldage social security.
키워드 목회자 사례, 사례비 격차, 확률효과 패널모형 / pastoral compensation, pastoral pay differentials, random effect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