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사회복지조직을 후원하는 개인 기부자들의 기부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후원 후 감사증가의 매개효과와 기독교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영문 제목 Effect of Private Donors'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after Don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
저자 이원준 (Won-June Lee)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이희진 (Hee-Jin Lee)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조교수)
다운로드 pdf FS21(4) 004(이원준이희진) 사회복지조직을 후원하는 개인 기부자들의 기부효용이 정신적 웰빙에.pdf (879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사회과학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1권 4호 (통권 69호)
발행 년월 2016년 12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분석에 기초한 실증연구이다. 조사대상자는 대구․경북지역의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들을 후원하는 개인 기부자들(525명)이다. 연구의 목적은 기부활동을 통해서 체험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효용이 개인기부자들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후원활동 후 감사증가여부가 미치는 매개효과, 그리고 기독교 유무에 의한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요약하면, 첫째,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5개의 직접경로들(‘정서적 효용성➝정신적 웰빙’, ‘가시적 효용➝정신적 웰빙’, ‘정서적 효용➝감사증가’, ‘가시적 효용성➝감사증가’, ‘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중에서, 기독교인 집단에서는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무교집단에서는, ‘가시적 효용➝정신적 웰빙’과 ‘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이 두 경로에서만 유의한 직접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기독교 집단의 경우, ‘정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경로와 ‘가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이 두 경로에서 ‘감사증가’의 부분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무교집단에서는 ‘가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경로에서만 ‘감사증가’의 완전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개인 기부자들의 종교배경(기독교, 무교)에 따라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기부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각각 미치는 직접효과와 ‘감사증가’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다른 양상을 보여주어, ‘기독교 종교유무’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의 정신적 웰빙에 기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효용의 직접효과, 기부활동 후 삶에 대한 감사함 증가의 매개효과, 그리고 종교유무의 조절효과에서 밝혀진 차이점과 함께, 기독교인 집단은 무교집단보다 기부를 통한 정서적 효용감,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증가, 그리고 정신적 웰빙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높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독교인들이 지닌 긍정적인 특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분석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25 private donors sponsor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he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private donors'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after don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donors show direct effects of all five path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ositive effect of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on mental health each, the positive effect of the two utilities on increasing gratitude each, and the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on mental health. On the other hand, among atheistic donors, only demonstrable utilities and increasing gratitude have direct effects on their health. Second, among Christian donors, both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h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resulting from increasing gratitude. Among atheistic donors, increasing gratitude show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between their demonstrable utility and mental health. Third, according to the religious background of private donors,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on mental health eac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the moderation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is proved. Lastly, since Christian donors show the higher level of emotional utilities, increasing gratitude after donation, and mental health than atheistic donors in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as an empirical study, confirming Christian's positive characteristics.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키워드 정신적 웰빙, 기부, 감사증가, 가시적 효용, 정서적 효용, 기독교인 / mental health, donation, increasing gratitude, demonstrable utility, emotional utility, Christ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