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네덜란드 기독교 학교 종교교육 이슈와 함의
영문 제목 Religious Education Issues in the Netherlands Christian Schools and the Implications
저자 류기철
다운로드 pdf 네덜란드 기독교 학교 종교교육 이슈와 함의(류기철) 20120519.pdf (542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교육학
발행 기관 춘계학술대회
발행 정보
발행 년월
국문 초록
근래 특별히 사회적 이슈가 학교 폭력과 고질적 문제인 수능 중심 교육에서 빚어지는 극심한 경쟁으로 인해 한국의 공립 교육은 해결책 없는 악순환의 고리가 이어지고 있는데 반하여 기독교 정신으로 올바른 인성과 성경적 원리로 교육하려고 노력하는 기독교 대안학교의 태동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나 열악한 경제적 상황과 기독교적 원리와 현실과의 괴리, 그리고 정부의 방관과 간접적 탄압으로 경영난 속에 허덕이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 역사가 20년도 채 되지 않는 한국의 기독교 대안학교이기에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기독교 대안 학교의 커리큘럼 중 종교교육 수업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미진하다. 현대 기독교 학교 운동의 뿌리라고 볼 수 있는 개혁주의 전통을 가진 네덜란드에서의 종교 교육에 있어서 현재 논의 되고 있는 이슈들을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2장에서는 시민사회 형성을 위한 종교 교육의 이슈, 3장에서는 종교 교육과 종교적 헌신의 관계 이슈, 그리고 4장에서는 다-종교 학교에 대한 이슈이다. 네덜란드에서 현재 다루어지고 있는 세 가지 이슈를 살펴보면서 각 이슈들에 대해 의의와 비평과 제안을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이며, 마지막으로 네덜란드처럼 다 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미래를 내다보면서 기독교 대안 학교의 종교교육과정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데 그것은 하나님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내용으로 종교교과과정을 보완하며, 채플 시간을 중심으로 다른 교과과목들과의 연계를 위해 통합적 세계관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종교수업 자체의 관심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학생과 교사의 관계를 강조하고 교육여건을 향상시켜 수업의 질을 높이도록 함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e current troublesome social issues of education, including the school violence, and the recurring issue of severe competition among students for college entrance exam, all of which have been in vicious cycle, it is deeply encouraging to see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movement in recent years in Korea. Yet thes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have been facing another severe challenges, which include the poor financial situations, the wide gap between Christian principles and the practices, and the oversight from the government and indirect persecution agains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u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needs to provide academic research as support for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at have been founded mostly within the last 20 years. What’s lacking is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Religious Education classes in the curriculum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In the second chapter, I will deal with the issue of religious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civic society; Chapter 3 deals with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gious education and the religious commitment; Chapter 4 deals with the issue of Multi-religious school. Having dealt with three significant current issues, I will evaluate, criticize and mak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Finally, as the Netherlands, Korea also has been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hich would require a preparation for the future in the field of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for which I will make som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unity of God revealed in God’s creation ac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wholistic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in order to integrate faith and learning throughout the curriculum; lastly,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taking religion class, it is vital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 religion class along with deep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
키워드 종교교육, 기독교학교, 다문화, 정체성, 다-종교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