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몽골 이주노동자들의 결혼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고립, 스트레스와 대처유형, 종교단체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영문 제목 The Correlates of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Migrant Worker in Korea - Focusing on Social Isolation, Stress, Coping Patten and Social Support -
저자 신성자 (경북대학교)
다운로드 pdf 8.신성자-편집.pdf (635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가정사역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17권 3호 (통권 52호)
발행 년월 2012년 09월
국문 초록 이주노동자들의 노동력에 대한 한국산업체의 의존도가 증가와 함께, 본 연구는 가족과 분거생활을 하는 기혼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성 문제와 관련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서울과 부산, 인천, 대구, 대전, 안산, 평택, 청주, 구미, 목포 등 10개 도시에 거주하는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표본(N=167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성에 대한 진단과 이들의 결혼불안정성(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관련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부가하여 종교배경별 결혼불안정성 및 사회적 지지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사회적 고립감’, ‘스트레스’, ‘긍정적 대처’, ‘부정적 대처’, 그리고 종교단체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등 5개의 주요독립변수와 ‘성별’, ‘연령’, ‘학력’, ‘체류기간’, ‘체류자격’등 5개의 통제변수를 투입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 세 명 중 한 명 이상이 결혼해체 위험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의 ‘사회적 고립’(odds ratio, 2.075), ‘사회적지지’(.889), ‘성별’(.490), ‘연령’(.437), ‘체류기간’(1.742)은 결혼불안정성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결혼불안정성에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교배경별 결혼불안정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기독교인들이 타종교 또는 무교인 사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서적 지지를 더 받고 있는 경향이 있어, 기혼 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데 교회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주었다. 이주노동자들의 가족결합권을 허용하는 정책의 필요성과 기혼 이주노동자들의 결혼해체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increased dependency of immigrant workers'' labor on Korean Industry, the major concern of this study consists in:(1) evaluating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2) the correlates of ‘social isolation’, ‘stress’ ‘coping pattern’ ‘social support from religious organization’ ‘gender’, ‘age’, ‘education’, ‘length of stay’, ‘legal status’ on the ‘marital instability’; (3) the difference of marital instability and social support between Christian and other group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167 married Mongolian migrant workers residing in 10 major citie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i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We find the significant marital instability among Mongolian migrant workers. At least one third of respondents are at the risk of marital dissolution. ‘Social isolation’(odds ratio, 2.075), ‘social support from religious organization’(.889), ‘gender’(.490), ‘age’(.437), ‘length of stay’(1.742)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omparing to other Mongolian immigrant workers with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the Christian Mongolian migrant workers seem to receive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emotional support from church. This implies that the significance of Church''s roles in terms of being able to decrease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immigrant workers. Comparing to other Mongolian immigrant workers with different religious ackgrounds, the Christian Mongolian migrant workers seem to receive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emotional support from church. This implies that the significance of Church''s roles in terms of being able to decrease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immigrant workers. Some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키워드 결혼불안정, 사회적 고립감,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유형, 종교단체, 교회, 분거부부, 이주노동자, 몽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