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영문 제목 A Christian Approach towards Post modernism
저자 신국원 (Kuk Won Shin) (총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다운로드 pdf 52200151.PDF (1.27 MB)
논문 구분 특집논문 | 신학/철학
발행 기관 통합연구 (ISSN 1226-1157)
발행 정보 제7권 2호 (통권 22호)
발행 년월 1994년 06월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서양 철학의 최근 동향을 간략히 서술하고 그것이 기독교적 학문 연구와 관련될 수 있는 점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주제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고자 한다. 첫째로 서양철학이 어떻게 현재의 상황, 즉 소위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의 상황에 이르렀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둘째로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내용을 소개함으로서 그것을 정의하고자 할 것이다. 셋째로 철학의 이러한 동향이 기독교 학문 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넷째로 기독교 학자가 실제로 이러한 상황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의 한 실례로서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해석학을 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이 논고는 개혁주의 노선에 서 있는 북미의 기독교 사상가들이 철학의 이러한 동향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철학의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은 20세기의 서구 문화의 일반적 분위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은 데이빗 클렘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일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지성인들 사이에 팽배한 근대주의적 이상에 대한 환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불만과 위기감은 금세기 후반에 들어 과학에 대한 신뢰 상실과 환경문제에 봉착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20세기 초반부터 일부에서 일어난 문명의 위기의식이나 과학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 최근 들어 마침내 17세기 이후 4세기 이상 지속해온 "근대(近代)의 종말"에 대한 종합적이고 본격적인 논의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을 규정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그것은 이 동향이 아직도 하나의 통일된 체계를 이루기보다는 여러가지 주장들이 논쟁을 벌이며 전개되는 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넓게 보려면 적어도 근대 철학에 대한 극단적 비판인 데리다의 해체주의뿐 아니라 수정주의적 계몽사상가인 하버마스의 비판이론, 그리고 가장 온건한 대안이라 볼 수 있는 철학적 해석학을 주장하는 가다머 등의 삼대 조류는 물론 그 외에도 여러 학자들이 상이한 주장들을 모두 고려해야만 한다. 물론 포스트모더니즘의 여러 유파들에 어떤 공통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반형이상학적 자세라고 할 수 있다. 서양 철학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형이상학은 결국 복잡한 실재(實在)를 이해하기 쉽고 다루기 쉽게 이론적으로 체계화 하려는 노력이었다. 형이상학은 근대에 들어와 과학의 영향으로 지나치게 객관주의적이 되고 말았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이 점을 비판한다. 그러나 이 비판은 객관주의적 진리관의 몰락이 가져오는 상대주의의 위협을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또 하나의 어려운 부담을 지워준다. 결국 포스트모더니즘의 논쟁은 객관주의와 주관주의의 양극적 위험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있다. 이와 연관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또 다른 과제는 주체를 중심으로 삼는 근대 철학의 사고방식을 비판, 극복하는 것이다. 이들은 또한 근대 철학의 이론 중심적인 추상성에 반발하여 실천적·윤리적 요소들에 관심을 기울이고, 나아가서는 문화, 사회, 정치적인 양상들을 철학의 본질적인 분야로 다루고 있다. 끝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일견 반계몽주의적이며 반인본주의적 성향을 가진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기독 학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그것은 우리들에게 세상의 문화와 그것의 정신에 맞서 도 전하고 복음의 진리를 드러내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의 게몽주의 붕괴 후유증으로 비관적·허무주의적 상대주의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에 그것을 비판적으로 주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가다머의 철학적인 해석학은 일상 언어를 통한 이해가 가진 존재론적 구조를 분석함을 통하여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를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진리관을 주창하고, 아울러 그 철학을 기반으로 책임과 공동체적 정신을 기조로 한 문화, 사회관을 펼친다. 또 북미의 일단의 기독철학자들의 움직임 역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논의에 의미있는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상황은 그리스도를 대적하여 높아진 모든 것을 주의 진리 앞에 굴복시켜야 할 사명을 가진 기독 학자들에게 커다란 도전과 기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키워드 포스트모더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