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월터스토프의 평화교육 관점에서의 초등학교 도덕·사회 교과서 내용 분석
영문 제목
저자 김현정 (성균관대학교)
다운로드 pdf 월터스토프의 평화교육 관점에서의 초등학교 도덕·사회 교과서 내용 분석 _김현정.pdf (2.45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교육학
발행 기관 춘계학술대회
발행 정보 (통권 20호)
발행 년월 2013년 06월
국문 초록 1. 서론

오늘날 한국 교육의 모습은 양적 성장주의에 기초한 무한경쟁의 싸움터로 변질되었다. 학교는 학생들에게 한 번의 입시로 승부를 결정하는 중압감을 주는 곳이고, 그에 따라 학생과 교사, 학부모 모두가 끝이 없는 경쟁의 질서에서 빠져 나올 수 없는 비인간적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학교 안과 학교 주변에 폭력이 만연하고 있다(박보영, 2005: 192). 이처럼 어릴 적의 폭력적 교육 환경의 영향은 학생이 성인이 되어 사회에 나갔을 때 더욱 심각한 부적응과 인간다운 삶의 상실에 대한 주요한 원인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회적 폭력과 학교의 폭력이 일상화된 비평화적 문화 속에서 상호신뢰와 상호존중의 평화의 문화를 일으키기 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 안에서는 평화교육이라는 이름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와 관련하여 민주시민교육, 인성교육, 환경교육, 이웃사랑교육, 통일교육, 국제이해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단체활동, 한일합동 수업교류, 영호남 간 교류학습의 체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획일적인 입시위주의 교육풍토 속에서 평화교육은 그 본래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형식적인 것으로 흐르는 경향이 짙다.
평화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평화교육의 이론적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왔다. 외국의 평화교육 연구로는 Galtung(1976)과 Hicks(1987/고병헌 역, 1995)의 연구가 있다. Galtung은 평화의 개념을 표면적으로 전쟁이 없는 상태에 국한시킨 기존의 평화개념을 넘어서 불평등, 불공정과 같은 구조적 문제 또한 평화를 위협하는 문제라고 지적하고 이러한 구조적 폭력의 부재상태를 적극적 평화라는 개념으로 정립시켰다. Hicks는 Galtung의 확장된 평화개념에 기반하여 평화교육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그는 평화교육의 요소를 지식, 태도, 실천으로 나누어 평화를 조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평화교육 연구는 남북분단의 불안정한 상황 극복과 민주화를 위한 투쟁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1990년대에 평화의 개념이 생활 속의 평화 개념으로 확장되어 교육현장과 연계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된 것으로 강순원(2000), 고병헌(2004)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강순원(2000)은 평화교육을 전쟁과 폭력, 빈곤, 억압과 차별 등으로 인해 인간의 삶과 사회적 생활에 부과되는 위험에 관한 지식을 전수하고 일깨움으로써 긍정적 사회 변화와 개인적 태도와 가치의 변화를 낳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고병헌(2004)은 평화교육을 정치교육과 가치교육의 성격을 지닌 교육으로 궁극적으로는 사회를 이해할 수 있고 올바른 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평화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과 교육현장에 대한 평화교육 적용의 준비로, 이를 기점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평화개념이 확장되고 평화교육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교교육에서 평화교육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연구로는 정선영(2005), 설규주(2009), 김병연(2011) 등의 연구가 있다. 정선영은 초등사회과의 평화교육단원 계발을 시도하였으며, 설규주는 학교급에 따른 학교 평화교육 실태를 조사하였고, 김병연은 평화교육 교수학습체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외에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교과서내용을 분석한 석사논문으로 조원종(2008), 이소혜(2006)의 연구가 있다. 조원종은 Hicks의 관점에서 평화교육의 주제를 한국사회의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8 가지 준거를 삼아 초․중․고 사회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소혜는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평화교육의 중요한 내용을 통일교육, 인권교육, 환경교육, 세계화교육으로 보고, Hicks의 평화교육 관점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의 전교과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