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기독노인의 삶의 질 연구: 장애변수를 중심으로
영문 제목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Christian Elderly People: Centering on the disability variable
저자 백은령 (Eun-Ryoung Paik) (총신대학교 교수)
전동일 (Dong-Il Chun) (한국장애인개발원 선임연구원)
다운로드 pdf FS2013-18(4) 7-백은령외1명.pdf (553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사회과학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18권 4호 (통권 57호)
발행 년월 2013년 12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독노인의 삶의 질의 수준과 영향요인을 기독장애노인과 기독비장애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함으로써 장애노인에 대한 기독교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도 전국 노인실태조사”(박명화 외, 2009)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만 60세 이상의 기독노인을 장애유무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기독장애노인은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비동거자녀와의 왕래가 많을수록, 친척과의 왕래가 많을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친구이웃과의 왕래가 많을수록, 시민·사회단체 참여가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보다 있는 경우에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았다. 반면, 기독비장애노인은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가까운 친구나 이웃의 왕래빈도가 많을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무배우자보다 유배우자인 경우에, 나이가 많을수록, 비동거 자녀와의 왕래빈도가 많을수록, 형제·자매·친인척과의 왕래빈도가 많을수록, 종교단체 참여도가 높을수록, 비동거 손자녀와의 왕래빈도가 많을수록, 학습단체 참여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기독장애노인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기독비장애노인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인은 시민사회단체 참여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장애노인의 사회참여는 유일하게 시민사회단체 활동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기독장애노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기독비장애노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나이, 만성질환수, 비동거 손자녀 왕래빈도, 종교단체 참여정도, 학습단체 참여정도로 나타났다.
영향의 정도는 상위 순위의 변수는 대체로 우울, 건강, 가구소득이었다. 다음으로 가까운 친구와 이웃과의 왕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았으나, 기독장애노인 집단은 비동거 자녀나 친척과의 왕래가 삶의 질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독교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ristian welfare implications to the elderly disabled people. For this purpose we divided the set of christian elderly people into the group of disabled and the group of non-disabled. And we compared the two groups. For this study we used “2008 National Survey on the Elderly people”The quality of life of the christian elderly people was higher when their depression was low, their health condition was good, their school career was high, their familiarity with neighbor was high, the level of their social participation was high and their spouse was alive.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non-disabled elderly people were age, chronic diseases, visits with the grandchildren, participation in the religion group or scholar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ression, health and family income were generally major factors for the quality of life and visits with friends and neighbor were the secondary And the effective factors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christian elderly people were visits with the grandchildren, the relatives.
Finally we suggested the christian welfare implications to the elderly disabled people.
키워드 기독노인, 삶의 질, 장애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