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통일시대 한국적 공유가치 창출에 관한 성찰 - CSV(공유가치 창출) 경영이론을 중심으로 - |
---|---|
영문 제목 | |
저자 |
김세중 (아주대 겸임교수) 전병길 (예스 컨설팅 전문위원) |
다운로드 |
![]()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 기독학문학회 |
발행 정보 | (통권 31호) |
발행 년월 | 2014년 11월 |
국문 초록 | 최근 기업과 사회의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경영(CS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CSR과 CSV 의 개념과 실행에 있어서 혼돈스러운 양상이 전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으로부터 최근 공유가치(CSV) 경영이론에 이르기까지의 발전과정을 더듬어 보면서 CSR 과 CSV 의 관계에 있어서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해 본다. 그리고 한국기업들이 사회책임경영(CSR) 활동을 통해 사회와 기업의 공유가치를 창출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성과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제시한다. 성과 측정의 방법론으로서 공유가 치 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경영이론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CSR 과 CSV 의 관계에 있어서 CSR은 선행 원리로서 작용하며 CSV 는 CSR의 원리를 수익중심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치사슬의 혁신을 수반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공유가 치 창출 성과에 있어서는 한국기업들의 CSR 활동이 사회경제적 성과와 기업의 경영성과를 동시에 향 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SR 활동으로 창출된 사회경제적 성과가 기업이 처한 경쟁환경의 조건을 개선시켜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한국기업들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투자가 아직 충분치 못하다는 것으로서 향후 기업들의 전략적이고도 지속적인 투 자가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CSR 활동의 성과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최고경영자의 박애 (Philanthropy)에 기초한 선행의지와 조직원들의 사회책임에 대한 비전의 공유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시장지향성과 함께 사회적 니즈를 새로운 시장기회로 파악하는 사회적 니즈 지향성의 개발이 중요하 게 대두되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도래하는 통일시대에 북한지역에서 요구되는 거대 한 사회적 니즈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며 그에 드는 통일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필요한 대안으로서 공 유가치 창출적 접근방법을 제안하였다. |
영문 초록 | |
키워드 | CSR 활동, 공유가치 창출, 사회적 니즈 지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