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개혁주의 세계관의 관점에서 보는 성경적 리더십 이해 |
---|---|
영문 제목 | |
저자 |
하성만 (고신대 교수) |
다운로드 |
![]()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 기독학문학회 |
발행 정보 | (통권 31호) |
발행 년월 | 2014년 11월 |
국문 초록 | I. 들어가는 글 땅 정복 명령의 목적은 하나님의 통치 완성을 이루기 위함이다. 하나님의 다스리심을 목적으로 하는 땅 정복 명령은 창세기 1장 28절에 잘 나타나 있다.1) 이 명령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내리신 복의 주 된 내용이며, 다른 피조생물들에게 베푸신 복의 내용과도 확연히 구별되기에 매우 독특하며 특별하기까 지 하다.2) 땅 정복에 대한 명령은 문화명령 (culture mandate)이라고 불리는 다섯 가지 명령들 중의 네 번째 명령에 해당한다. 땅 정복 명령은 최초의 인간이었던 아담과 하와에게 내리신 명령이었지만, 오늘 날에도 여전히 지키고 계승해야 하는 유효한 명령이다. 땅 정복 명령의 중요성을 하나님 나라 완성의 관점으로 연구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최초의 인 간이었던 아담과 하와에게 주어졌던 이 땅 정복 명령은, 아브람에게 그 명령이 다시 주어짐으로써 연구 의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더욱이 예수께서 십자가 사역을 완성하시고 부활하신 지 사십 여일 만에 승 천하시기 직전에 하신, 대 위임령(great commission, 마28:18-20; 막16:15)을 선포하신 사건은 땅 정복 명령에 대한 수행권한의 선포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재림하실 예수께서 온 땅을 온전히 정복하 시는 만왕의 왕으로 오실 것이라는 계시록의 기록(계22:12, 20; 행1:11))을 볼 때, 땅 정복 명령이 단순 한 명령이 아니라 성경 전체의 주제와 관련성이 있으며, 또한 명령의 목적과 관련한 일관성 있는 주제 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이 글은 땅 정복 명령의 목적으로 간주되는 ‘주 다스리심 (主治)’이라고 하는 주제를 성경적 세계관 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성경적 리더십을 보다 명료하게 이해하고자 함이다. 이는 ‘다스리심’을 리더 십으로 이해하려는 필자의 관점이 올바른 성경적 세계관의 이해로부터 출발하였음을 증명하고자 함이 다. 이 논문의 중요성과 기대 공헌은 땅 정복 명령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리더십 이해를 도모하고, 리더 십의 시원(始原), 성경적 세계관 이해 등의 개념을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다룸으로 인하여, 성경적 리더 십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그 범위와 한계 등을 성경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설정함으로 현대 리더십 주 요 이론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이다. 이는 성경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땅 정복 명령’에 대한 일관성 있는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시도하는 데 있다. 즉, 개혁주의 신앙에서 바라보는 성경적 세계관에 대한 이해를 ‘땅 정복 명령’의 관점에서 다룸으로써, ‘리더십’이라는 일반적 주제와 ‘성 경적’이라고 하는 신앙의 주제를 하나로 통합하여 신앙과 학문의 일치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
영문 초록 | |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