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종교 성향 및 영적 성숙도의 관계
영문 제목 The Relations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Maturity of Adolescents
저자 임신일 (Shin-il Im) (예수대학교 교직부 교수)
형희경 (Hee-kyoung Hyoung) (예수대학교 간호학부 교수)
김대용 (Dae-yoong Kim) (예수대학교 간호학부 교수)
다운로드 pdf 006 임신일외(FS2015-20-6) 청소년의부모자녀관계,종교성향및영적성숙도의관계.pdf (470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가정사역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0권 2호 (통권 63호)
발행 년월 2015년 06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종교 성향 및 영적 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자녀관계, 종교 성향, 영적 성숙도의 관계와 구조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자녀관계, 영적 성숙도의 관계에서 종교 성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를 위하여 전북지역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3개교 학생 79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기독교인 34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자녀관계와 종교 성향, 영적 성숙도의 구조적 관계는 적합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와 자녀 간 친밀관계는 내재적 종교 성향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부모와 자녀 간 엄격한 관계는 내․외재적 종교 성향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청소년의 종교 성향 중 내재적 종교 성향이 영적 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더불어 부모-자녀관계와 영적 성숙도의 관계에서 내재적 종교 성향은 완전매개를 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and structure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maturity for adolescents. Another pursuing goal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religious orientation works to b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piritual maturity.
This survey was carried out by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responde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They attended three different high schools in Jeollabuk-do.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seven hundred and ninety students(790). Among them, we selected three hundred and forty-one (341) students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Christians.
The results from the structur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tical model generally seemed to fit a categorical fitness index. Secondly, it appears a positive relation strongly exists between the intimacy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However the stern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didn't have an effect on the youth's religious life, which aim is to be fruitful intrinsically and extrinsically. Thirdly, it is only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that influences spiritual maturity.
In conclusion, we can confirm that religious orien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piritual maturit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limitations were described.
키워드 청소년, 부모-자녀관계, 종교 성향, 영적 성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