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잉여욕망’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탐색 및 기독교 신앙적 해법 -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
영문 제목 Psychoanalytic Exploration of Surplus Desire and a Solution at the Christian Faith Level - Focusing on the movie “Parasites” -
저자 전성호 (SungHo Jeon)
이현심 교신저자 (HyunSim Lee)
이창돈 참여저자 (ChangDon Lee)
다운로드 pdf 신앙과학문 25(1) 전성호.pdf (1.80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5권 1호 (통권 82호)
발행 년월 2020년 03월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뚜렷한 생각이나 뜻이 없는 본능에 가까운 마음의 작용, 욕동(慾動, drive)이 현대사회의 대타자(Big Other) 붕괴상황과 결합하여 나타내는 도착(倒錯)적 잉여욕망(剩餘欲望) 문제를 영화 ‘기생충’의 핵심 주제로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정신분석학적 탐색 및 기독교 신앙적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영화를 한 편의 텍스트로 사고하는 구조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Lacan의 L도식을 적용하여 탐색, 구조화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중요한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대타자의 통제기능이 제대로 작동(作動) 하지 않는 사회심리적 상황에서, 나르시시즘적 가족주의라는 이데올로기 신념에 기초한 세 가족의 기생(寄生)적인 관계 속에 들어있는 (둘째)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한 왜곡된 환상적 응시(凝視) 및 상징적 조작 등 도착적 잉여욕망 문제와 (셋째)망상(妄想)에 가까운 비현실적인 꿈일지라도, 그것(agalma)을 바라보면서 고단한 현실을 견디는 환상의 결핍 충전(充塡) 기능이 발견되었고, (넷째)그러나 문명 속의 불만, 죽음욕동은 나르시시즘적 가족주의 환상이 생산하는 도착적 잉여욕망에 의존하는 생활방식만으로는 폐제(廢除)되지 않고, 늘 파멸의 원인으로 회귀(回歸)한다는 심층심리의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영화 속에 나타난 현대인의 부정할 수 없는 자화상(自畫像), 도착적 잉여욕망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 신앙적 해법(解法)으로서, ‘십자가 기도생활’을 통한 하나님을 향(向)한 ‘욕망의 주체화 과정’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blem of distorted surplus desire which is expressed by the drive, the work of the mind close to instinct without clear thoughts or aim, combined with the collapse of the ‘Big Other’ in the modern society, and to present a solution at the christian faith level.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ttempted a structural analysis to think of a film as a text. Jacques Lacan’s L scheme was applied to explore and structure i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our important points were found. First, the parasitic relationship of the three families based on the ideological belief of the narcissistic familialism in the social psychological situations in which the control function of the ‘Big Other’ does not work properly. Second, the perverted surplus desire problems, including the distorted fantastic gaze and the symbolic manipulation to satisfy the unfilled lack of mind. Third, even if it’s an unreal dream close to delusion, looking at it, the function of fantasy(=agalma) to charge the deficiency of mind to endure the tough reality. Fourth, the problem of in-depth psychology, that the death drive is never foreclosured by a lifestyle that relies on the distorted surplus desire produced by the narcissistic familial illusions, but always returns to the cause of destru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the subjectivization process of desire unto God through ‘the Cross Prayer Life’ as a solution at the christian faith level to the problem of distorted surplus desire, the modern people’s undeniable self-portrait in the film.
키워드 기생충, 잉여욕망, 대타자, 십자가 기도생활, 욕망의 주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