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에서의 자녀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개신교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영문 제목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s in Children's Education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Protestants
저자 지상선 (Sang-Sun J) (성균관대학교(Sungkyunkwan University) 아동청소년학과 박사수료)
현은자 (Eun-Ja Hyun) (성균관대학교(Sungkyunkwan University) 전임교수)
다운로드 pdf 004 신앙과 학문 26-3 (페이지 83-123)_지상선, 현은자.pdf (1.79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6권 3호 (통권 88호)
발행 년월 2021년 09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자녀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10명의 북한이탈 출신 여성 어머니들이 참여했다. 자료는 일대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연구자들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 코딩 결과 13개의 범주, 32개의 하위범주, 124개의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 인과적 조건은 중심부 배제로 인한 주변인 지위로 나타났고 현상은 과거로의 회기 심리, 인위적 현실 망각으로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은 부모-교사 간의 불신감, 사교육 소외, 멀어지는 희망, 교육 주변인, 문화적 충격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소수자 연대, 개신교 공동체의 도움으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은 낙관적 기대 속의 도전, 강한 생명력의 자본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가능성 기획으로 범주화했다.
연구의 주요 발견 점은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이 교육 실패와 좌절을 극복하고 새로운 꿈을 꾸는 데 있어서 교회의 지지와 후원이 가장 큰 중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교회의 지지와 구체적인 접근 방안에 대하여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children of mothers escaping from North Korea.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mothers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The data were constructed by conduct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ers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open coding, 13 categories, 32 subcategories, and 124 concepts were derived.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 appeared as fear of exclusion from the center that forced assignment of the status on the people around, the causal condition appeared as fear of exclusion from the center and forced assignment of the status on the people around, the phenomena appeared as psychological to go back to the past and artificial oblivion of reality in self-concealment,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appeared as distrust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lienation from the private education, fading hope, people around the education and cultural impact.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 appeared as minority solidarity and Protestants community help, Action/interaction appeared as a challenge in optimistic expectations and capitalization of strong vitality, and finally the consequence is categorized as possibility planning.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at the support and sponsor of the church played a major mediating role in that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overcome educational failures and frustrations before dreaming a new drea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church's support and specific approaches to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children.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교회 공동체, 문화적 이질감, 인적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