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인터넷 음란물인식이 기독교인과 무신론자의 혼외성행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혼외관계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문 제목 The Perception of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 on the Intention of Christians and Atheists to Engage in Extramarital Sex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저자 이희진 (Hee-Jin Lee) (한동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원준 (Won-June Lee)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다운로드 pdf 04.이희진, 이원준 85-116.pdf (4.07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사회과학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7권 3호 (통권 92호)
발행 년월 2022년 09월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인식이 기혼 남녀의 혼외성행위 실행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혼외관계인식의 매개효과가 기혼 남녀의 종교배경에 의해서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성은 여성보다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덜 비판적이고, 혼외관계에 대해 더 수용적이며, 혼외성행위를 실행할 의도도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기독교인은 혼외관계에 대해 무교인보다 더 비판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기독교인의 경우, 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인식 때문에 이들의 혼외성행위 실행의도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그러나 혼외관계에 대해 이들이 어떤 인식을 가지는지에 따라서, 이들의 혼외성행위 실행의도에 인터넷 음란물인식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터넷 음란물인식이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강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무교인은 물론 기독교인을 위해서도 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비판의식 고취가 혼외성행위 예방 및 대처에 필요한 중요한 실천과제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rough empirical research how the direct effect of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 on the intention to practice extramarital sex of married men and wome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controlled by their religious backgroun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found that men are less critical of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 more receptive to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more willing to engage in extramarital sex than women. It has been proven that Christians are more critical of extramarital relations than atheists according to religious background. In the case of Christians, their perception of Internet pornograph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ir intention to practice extramarital sex. However, depending on how they perceive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 perception of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 can indirectly affect their intentions to practice extramarital sex. Considering the strong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 on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raising a critical awareness of internet pornography for both atheists and Christians will be an important practice task to prevent and cope with extramarital sexual behavior.
키워드 혼외관계인식, 혼외성행위, 인터넷 음란물인식, 기독교인, 무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