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성경 속 동물들의 존재 양식에서 살펴본 동물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 정립을 위한 일 연구 |
영문 제목 |
A Study on Establishing a Christian Attitude toward Animals based on the Modes of Existence of Animals in the Bibles |
저자 |
김기흥 (Ki Heung Kim) (부산교육대학교 초등특수·유아교육과 교수)
|
다운로드 |
2. 김기흥 43-62.pdf
(1.95 M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교육학 |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30권 2호 (통권 103호) |
발행 년월 |
2025년 06월 |
국문 초록 |
본 연구는 성경 속 동물들의 본질적인 존재양식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의 동물에 대한 올바른 성경적인 태도 정립을 위한 논의의 기초적 자료와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동물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관계성은 세 가지 세계관에 영향을 받는다. 먼저 이원론적인 인간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및 신중심의 청지기주의라 할 것이다. 그 중에 동물에 대한 올바른 태도는 신중심의 청기지 주의라 할 것이다. 이는 이원론적인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중심주의가 인간과 동물 간에 철저히 상하관계를 중요시 한다. 그러나 신중심의 청지기 주의는 동일한 피조물이지만, 인간과 동물 간에 분명한 선후관계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동물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관계형성은 결국 세계관의 문제이다. 특히 성경해석에서 탈문맥적이 아니라 문맥 속에서 성경을 바르게 풀이하여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 정당하게 적용해야 하는 당위성과 시급성이 요구된다. |
영문 초록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and an opportunity for discussions on establishing the correct biblical attitude of Christians toward animals through the essential existence of animals in the Bible. Human perception and relationship with animals are influenced by three worldviews. First, they are dualistic anthropocentrism, ecocentrism, and theocentric stewardship. Among them, the correct attitude toward animals is theocentric stewardship. This means that dualistic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thoroughly emphasize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However, theocentric stewardship has the characteristic of forming a clea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creatures. Therefore, human percep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toward animals are ultimately a matter of worldview. In particular, in biblical interpretation, it is imperative and urgent to correctly interpret the Bible in context, not out of context, to find its essential meaning, and to apply it properly. |
키워드 |
동물보호, 반려동물, 기독교적 태도, 세계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