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조용한 사직과 소명 상실: 조직이론과 기독교 소명 개념의 통합적 고찰
영문 제목 Quiet Quitting and the Loss of Calling: An Integrative Study of Organizational Theory and the Christian Theology of Vocation
저자 김광태 (Kwangtae Kim) (연세대학교,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박사)
다운로드 pdf 1.김광태_5-38.pdf (1.33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경제/경영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30권 3호 (통권 104호)
발행 년월 2025년 09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조직에서 확산되고 있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 현상을 기독교 소명((calling) 개념,특히 루터의 직업소명론을 중심으로 재해석하고 이에 대한 조직 차원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조용한 사직은 단순히 개인의 태도 저하가 아니라 직무와 존재의 분리가 발생한 상태로,소명 상실에서 비롯된 구조적·심리적 현상으로 이해된다.이에 문헌 분석을 통해 조용한 사직의 개념과 원인을 다차원적으로 고찰하고, 소명을 ‘책임,목적,공동체,섬김’ 네 요소로 체계화하여 조직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도출하였다. 또한 조직이론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인간관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소명과 조직 설계의 이론적 접점을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용한 사직을 극복하기 위한 소명 기반 조직설계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으며, 신학과 조직이론의 통합을 통해 조직이 구성원의 정체성과 목적이 실현되는 의미 중심 일터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ffers a theological re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of quiet quitting by examining it through the lens of the Christian concept of calling,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Martin Luther’s doctrine of vocation. Quiet quitting—characterized by the intentional withdrawal of emotional and discretionary engagement while maintaining formal work presence—is framed not merely as a reaction to burnout or generational trends, but as a deeper expression of meaninglessness and the loss of calling. Drawing on both theological and organizational literatures, the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and existential roots of this phenomenon and reconstructs Luther’s vocational theology around four interrelated dimensions: responsibility, purpose, community, and service. It further investigates how contemporary organizational theories—especially those emphasizing meaning, identity, and human dignity—converge with the theological concept of calling. The central argument is that recovering a sense of calling in the workplace is essential to addressing the root causes of quiet quitting. To this end, the paper proposes a calling-centered model of organizational design that embeds moral purpose and relational identity into the cultural and structural fabric of work. By bridging the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a normative foundation for reimagining organizations as spaces of calling and dignity.
키워드 조용한 사직, 소명, 직업소명론, 일의 의미, 조직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