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드니 스미스의 Small in the City에 나타난 대화적 의미구조 분석 |
영문 제목 |
Dialogic Structure of Meaning in Sydney Smith’s Small in the City |
저자 |
정우향 (Woo Hyang Jung) (한국교원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
|
다운로드 |
2.정우향_39-68.pdf
(2.40 M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인문과학 |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30권 3호 (통권 104호) |
발행 년월 |
2025년 09월 |
국문 초록 |
본 연구는 러시아의 문학이론가이자 언어학자인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시드니 스미스의 작품 S의 글과 그림 텍스트에 담겨진 대화적 의미구조를 분석하였다.그림책은 어린이부터 성인,유초등 공교육 현장부터 성인 대상 문화센터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시대에도 사랑받는 교육매체로서의 위상을 잃지 않고 있다.간결한 글과 시각 기호인 그림이 상호작용하여 작품의 의미를 드러내는 그림책은 흔히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책으로 간주된다.그러나 작품이 함축하고 있는 풍부한 의미들을 제대로 감상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언어적 문해력 및 시각적 문해력이 더욱 필요한 매체이기도 하다.본 연구대상인 Small in the City 역시 소년과 고양이의 이야기로 작품의 서사와 그림을 읽을 수 있지만,글과 그림 텍스트에 담겨진 대화적 의미 구조를 내용과 형식 차원에서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한다면, 프레임 밖에 존재하는 다른 등장인물들과 독자의 상호텍스트적 경험을 중심으로 작품의 의미는 더욱 풍요롭게 확장된다. 본 연구는 바흐친의 대화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작품의 글 텍스트의 서술자(I)와 서술자 메시지의 수신자(You) 사이에 형성되는 대화적 의미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림 텍스트의 프레임의 형태와 프레이밍의 변화가 글 텍스트에 나타난 등장인물들과 독자의 대화구조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주제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을 밝혔다. |
영문 초록 |
This study analyzes the verbal and visual texts of Sydney Smith’s picture book Small in the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alogism developed by the Russian literary theorist and linguist Mikhail Bakhtin. Picture books are traditionally regarded as simple, entertaining, and easy-to-understand media intended for children. However, since picture books’ concise verbal text and visual symbols interact to produce meaning, their use in fact requires advanced verbal and visual literacy. Small in the City , while on the surface telling the story of a boy and a cat that can be read in its narrative and images, offers richer interpretive possibilities when its dialogic meaning structures are analyzed through form and content. Such analysis reveals intertextual experiences that link characters outside the frame and the reader, which ultimately expands the story’s meaning. This study examines the dialogic meaning structure that emerges between the narrator ‘I’ and the addressee ‘You’ in the verbal text, based on Bakhtin’s dialogic perspective. It also analyzes how the form of the visual text’s frames and changes in framing reflect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in the verbal text and therefore demonstrate the interaction among the story’s theme, text, and image. |
키워드 |
다성성, 대화주의, 상호텍스트성, 프레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