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글로벌 젠더 전쟁:유엔의 젠더 이데올로기 거버넌스에 대한 성경적 고찰
영문 제목 Global Gender War: A Biblical Inquiry into UN Gender Ideology Governance
저자 현숙경 (Eun joo Shin)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실용영어학과 교수)
다운로드 pdf 8.현숙경_203-238.pdf (5.80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인문과학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30권 3호 (통권 104호)
발행 년월 2025년 09월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보편적 인권’이라는 이름 아래 제도화된 젠더 및 성적 지향‧젠더 정체성(SOGI) 담론이 인간 정체성, 성, 가족, 윤리의 글로벌 규범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유엔은 국제 회의, 법적 문서, NGO의 옹호 활동 등을 통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본 연구는 1985년 나이로비 회의 이후 유엔 주도의 젠더 거버넌스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추적하고, 종교적‧문화적으로 보수적인 행위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한 국제적 저항을 분석한다. 특히 본 논문은 유엔의 젠더 담론에 대한 신학적 비판을 제시하며, 이에 대해 기독교 공동체가 창조 질서에 기반한 공적 응답을 해야 함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글로벌 젠더 거버넌스는 단순한 정책 개혁이 아니라 존재론적‧윤리적 질서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의를 수반하는 담론이며, 이에 대한 교회의 분별과 예언자적 증언이 요구된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how gender and SOGI(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discourses, institutionalized under the banner of universal human rights, are reshaping global norms on identity, sexuality, family, and ethics. The United Nations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is process through legal instruments, conferences, and NGO advocacy. Tracing the evolution of gender governance from the 1985 Nairobi Conference onward, this study analyzes growing global resistance to gender ideology, particularly from religious and culturally conservative actors. Integrating biblical theology, political ethics, and discourse analysis, the paper offers a theological critique and urges a biblically grounded public response by Christian communities. It concludes that global gender governance is not merely policy reform but a fundamental redefinition of ethical and ontological order, requiring cultural discernment and prophetic witness.
키워드 젠더 이데올로기, 성적 지향 및 젠더 정체성, 유엔, 글로벌 거버넌스, 성경적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