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독교대학 재학생의 종교와 전도에 대한 인식 조사 |
---|---|
영문 제목 | A Survey of Perceptions of Religion and Evangelism in Students with Christian University |
저자 |
문유미 (Yumi Mun)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조교수) 황수진 (Sujin Hwang)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교수(교신저자)) |
다운로드 |
![]()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30권 3호 (통권 104호) |
발행 년월 | 2025년 09월 |
국문 초록 |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 재학생의 종교와 전도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들의 종교적 신념이 종교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 재학생의 전도 경험 유형, 전도 방식에 대한 선호도와 거부감, 전도를 통한 종교적 전체성 변화를 알아보고, 기독교대학 내 학원복음화에 교육현장-기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진행되었고, 기독교대학 재학생 332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지는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9개 문항, 종교에 대한 개인의 인식 16문항, 전도에 대한 개인의 인식 8개 문항으로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지의 척도는 객관식 문항을 단일선택형 문항과 복수응답형 문항으로 사용하였고, 명목척도와 5점 서열척도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 중 종교적신념집단은 가장 중요한 종교적 가치를 ‘영혼의 구원’이었으나, 비종교적신념집단은 ‘정서적 위안’으로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인식도 종교적신념집단은 ‘구원자’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비종교적집단은 ‘종교적 상징’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가 가장 선호하는 전도방식은 ‘봉사활동을 통한 간접전도’이었고, 불편한 전도방식은 ‘개인적인 대화’라고 하였다. 또한, 참여하고 싶은 전도방식은 ‘봉사활동’과 ‘문화/예술 행사’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대학은 학원복음화를 위하여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성경적 교육과 봉사활동과 문화/예술 행사를 통한 전도를 제언하는 바이다. |
영문 초록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religion and evangelism, and to investigate how their spiritual beliefs influence their religious identity. This study involved 332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online questionnaire. The survey consisted of a total of 33 items, including 9 questions on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16 items on personal perceptions of religion, and 8 items on perceptions of evangelism.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respondents, the spiritual belief group identified ‘salvation of the soul’ as the most important religious value, whereas the non-spiritual belief group cited ‘emotional comfort,’ indicating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worldview. Regarding perceptions of Jesus Christ, the spiritual belief group most frequently described Him as the ‘Savior’, while the non-spiritual group most often viewed Him as a ‘religious symbol,’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evangelism was ‘indirect evangelism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while the least confortable method was ‘personal conversation.’ The most desired forms of evangelism participation were ‘volunteer activities’ and ‘cultural/art events.’ Based on these fin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promote campus evangelization through biblical education on the Christian worldview and evangelism activities involving volunteer work and culture/art events. |
키워드 | 기독교대학, 대학생, 인식, 종교, 전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