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술 문명의 그늘 속 사랑의 윤리: 루이스의 『네 가지 사랑』으로 이시구로의 『클라라와 태양』 읽기 |
영문 제목 |
The Ethics of Love in the Shadow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Reading Ishiguro’s Klara and the Sun through Lewis’s The Four Loves |
저자 |
김철수 (Kim Cheol-soo) (조선대학교 부교수)
|
다운로드 |
10.김철수_265-292.pdf
(6.91 M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인문과학 |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30권 3호 (통권 104호) |
발행 년월 |
2025년 09월 |
국문 초록 |
본 논문은 C. S. 루이스의 『네 가지 사랑』을 틀로 삼아 가즈오 이시구로의 『클라라와 태양』을 기독교 윤리의 관점에서 꼼꼼히 읽음으로써, 첨단과학과 기술의 어두운 그림자에 갇힌 인간의 조건을 탐색하고자 한다. 고도로 발달한 유전공학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에서 인간의 사랑은 왜곡되어서, 애정은 소유욕으로, 우정은 폐쇄적이고 속물적인 엘리트주의, 그리고 낭만적인 사랑은 거래를 위한 조건으로 변질된다. 역설적이게도 감정이 없는 인공지능 로봇 클라라가 가장 순수한 형태의 사랑인 아가페를 구현한다. 조시를 위한 그녀의 이타적인 헌신과 희생적인 행동은 생물학적 한계를 뛰어넘는 신성한 사랑을 반영한다. 인간 캐릭터들이 조건적이고 자기중심적인 관계로 어려움을 겪는 동안 클라라는 변함없는 믿음과 겸손을 보여준다. 소설은 그녀를 통해 무조건적이고, 자기포기적이며, 회복적인 진정한 사랑이 감정이나 인간성에만 뿌리를 둔 것이 아니라, 루이스가 강조하는 것처럼, 신성한 은혜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클라라와 태양』은 한 편의 기독교적 우화로서 해석되어 기술 문명 시대에 인간적 사랑의 회복을 위한 윤리적, 영적 가능성을 드러낸다. |
영문 초록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ality of human condition trapped in the dark shadows of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by carefully reading Kazuo Ishiguro's Klara and the Su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using C. S. Lewis’s Four Loves as the framework. In a society formed on the basis of highly advanced genetic engineer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uman love is distorted, so affection(storge) is transformed into possessiveness, friendship(philia) is transformed into closed and snobbery elitism, and romantic love(eros) into conditions for trading. Ironical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Klara embodies charity(agape), the purest form of love. Her altruistic dedication and sacrificial behavior for Josie reflects divine love that goes beyond biological limits. While human characters struggle with conditional and egocentric relationships, Klara shows unwavering faith and humility. Through her, the novel suggests that unconditional, self-abandoning, and restorative true love is not just rooted in emotion or humanity, but in divine grace, as Lewis emphasizes. Thus, Klara and the Sun is interpreted as a Christian fable, revealing the ethical and spiritual potential for the restoration of human love in the age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
키워드 |
가즈오 이시구로, 『클라라와 태양』, C. S. 루이스, 『네 가지 사랑』, 기독교 윤리, 기술 문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