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중독 사역 봉사자의 동반의존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영문 제목 A Single Case Study on the Codependency of Volunteers with Addiction in Ministry
저자 유고은 (Ko Eun Yoo) (총신대학교)
김규보 (Kyu Bo Kim) (총신대학교)
다운로드 pdf 12.유고은,김규보_319-356.pdf (14.2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30권 3호 (통권 104호)
발행 년월 2025년 09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회 중독자 사역에 헌신하는 봉사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왜곡된 섬김 속에서 동반의존은 어떻게 촉발되고 재현되는지를 탐색한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종교적 헌신의 외형 뒤에 숨겨진 부적절한 동기와 그로 인한 개인 및 공동체의 손상을 파악하고, 신앙의 본질 회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고 특징을 파악하는 데 적합한 질적 사례연구를 선택하였고, 동반의존적 봉사자의 실제 경험과 그 재현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총 5개의 상위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 경계 및 인식의 혼란, 가족 내 결핍에서 비롯된 감정 외상과 사역적 투사, 신앙 공동체에서 발현된 심리적 방어 기제, 회복에 대한 존재론적 갈망이라는 상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사역 관계 안에서 동반의존적 역동이 반복 재현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반의존적 헌신이 자칫 종교적 미덕으로만 비쳐질 수 있는 위험성과 그 이면의 수치심과 인정 욕구, 고립의 두려움 등이 돌봄을 통해 치유되어야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특히, 왜곡된 섬김 동기를 성찰하고 내면의 자원을 통합함으로써 동반의존자가 복음의 현재적 능력을 실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목회자는 목회상담자로서의 소명을 자각하고, 봉사자 개개인의 삶의 맥락에 맞는 섬세한 영혼 돌봄을 제공해야 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ingle-case study examines how codependency is triggered and perpetuated in distorted ministr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church voluntee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appropriate motives underlying religious devotion and the resulting harm,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biblical counseling to restore the essence of faith. The researcher selected a qualitative study, which is suitable for gain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and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actual experiences of codependent volunteers and the process. The analysis yielded five main themes and 15 sub-themes. The main themes were confusion about self-boundaries and self-awareness, trauma stemming from family,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s manifested in the faith community, and an existential longing for recovery. These themes emerged as patterns of codependent dynamics repeatedly played out within the ministry relationship, suggesting codependent commitment can be disguised as a religious virtue and that the shame, desire for recognition, and fear of isolation hidden behind it must be addressed through care and healing.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for codependent individuals to experientially engage with the present power of the gospel by reflecting on distorted motives for serving others and integrating their inner resources. It suggests that pastors should be aware of their role as counselors and provide sensitive spiritual care tailored to the unique life context of each volunteer.
키워드 동반의존, 성경적 상담, 중독, 봉사, 헌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