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청소년 찬양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내용 분석 ; 래드(George. E. Ladd)의 하나님 나라 이해 중심으로
영문 제목 A Content Analysis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Texts of Praise Songs for Adolescents
저자 현은자 (Eun-Ja Hyun)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교수)
이란 (Ran Lee)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박사과정)
다운로드 pdf 006 현은자, 이란(FS2015-02) 청소년 찬양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내용 분석.pdf (743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기타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0권 1호 (통권 62호)
발행 년월 2015년 03월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성도들이 예배와 모임에서 자주 부르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찬양들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적절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개혁주의 교단 소속의 교회 주일학교에서 사역하는 사역자들 107인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주제와 관련하여 교회 예배나 모임 중 자주 부르는 찬양을 추천하도록 설문하여 총 31곡을 그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표집된 찬양 가사는 의미 단위로 분절된 뒤, 코딩과 주제화, 범주화 과정을 거쳐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 범주화된 내용들은 성경적 관점과 래드(Ladd, 1982; 1997; 2000)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내용의 적절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미래성, 현재성, 그리고 이중성의 이해가 총체적이며 다층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이 중 미래성에 관한 찬양의 비중이 다소 두드러지는 점은 궁극적인 하나님 나라가 종말론적이라는 래드의 관점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되었다. 둘째로 찬양 가사에 반영된 하나님 나라의 묘사적 표현들에 있어서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과의 교제라는 두 측면을 공통적으로 공유하면서 두 나라가 각각 하나님의 통치가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점과 비밀스럽게 전개되는 점, 그리고 그 의의 구현에 있어서 각각 완전성과 제한성이라는 특징을 보여줌으로써 그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또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길로서 오직 예수에 대한 믿음이 그 유일한 조건임이 강조되었고 하나님 나라는 그 자체가 생명력이 있어 성장해 가나 이에 더하여 하나님 나라의 임함에 동역하고자 하는 성도들의 삶의 결단이 공로성이 아니라 당위성의 측면에서 가사 속에 다수 구현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확신이 찬양 가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확신은 기도로써 드려지는 찬양의 속성을 고려할 때 하나의 그 나라를 앞당기는 간절한 행위로써 이해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의 틀에 적합하지 않은 가사들은 성경과 래드의 이해에 기초를 두고 비판적으로 논의되었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주일학교 청소년들을 위한 찬양 선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s of praise songs concerned with the Kingdom of God and to discuss the adequateness of those that adolescents are frequently singing in their wor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otal 31 songs by the survey through 107 religious workers serving in church department for adolescents. Those song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a segmentation into meaning elements, open coding, topicalization and categorization. The categorized contents were discussed based on Ladd(1982; 1997; 2000)’s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As a result, there was a balanced reflection in the notions of futurity, nowness and duplicity of the Kingdom. Among them, the songs dealing with the futurity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nd this result were interpreted as an exact reflection for the Ladd’s idea of that the ultimate future Kingdom of God is fundamentally apocalyptic. And, there were both common and different descriptions between two kinds of notions on Kingdom in the phenomenological portrayals. There were love, rightness, healing, peace in the texts on both Kingdoms. On the contrary, one comes out as a God’s complete and visible reign; the other in secret. One is characterized by the perfect realization of rightness; the other by a limited form. Also, the condition for entering the Kingdom was obviously presented in the songs: that is the faith only towards Jesus Christ and there is no exception. The present Kingdom of God is depicted as growing in itself; however, the co-work with God and the determination of Christians to put forward the Kingdom were strongly reflected as a necessity in those texts. Finally, the texts of the praise songs showed the earnest wish and confidence for the advent of the apocalyptic Kingdom of God and they were understood as a prayer and a driving action for the fulfilling the wish. However, the contents inadequate for the analysis frame above, such as the emphasis on our contribu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hrases of bible and Ladd’s understandings of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ose findings, this study speculat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praise songs in adolescents’ worship.
키워드 하나님 나라, 청소년 찬양, 미래성, 현재성, 래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