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가족생활에서 종교의 역할: 연구개관
영문 제목 The Roles of Religion in Family Life: A Research Review
저자 김성은 (Seong-Eun Kim)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다운로드 pdf FS22(3) 003 김성은 가족생활에서 종교의 역할 연구개관.pdf (573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2권 3호 (통권 72호)
발행 년월 2017년 09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개제된 종교와 가족에 관한 연구들의 개관을 통해 가족생활에서 종교의 역할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41편의 연구논문들이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되었고 논문들을 연구영역에 따라 분류하고 영역 별 상세 주제, 표본, 종교가 연구된 방식, 연구결과, 제한점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1)종교의 역할은 가족형성 준비, 결혼과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부모역할과 양육, 가족스트레스와 적응, 가족관계 전반, 가족기능 영역에서 탐색되었다. 2)표본은 확률표집, 편의표집, 목적표집, 눈덩이표집 등을 통해 추출되었다. 3)종교는 종교유형, 종교활동 참여 정도, 믿음의 정도, 종교ㆍ신앙 조직 몰입 동기, 영성 등으로 측정되거나, 교리 해석과 수용방식이나 종교ㆍ영성ㆍ신앙의 역할로 연구되었다. 4)하지만 표본추출의 문제와 표본의 편향, 부적합한 종교성 척도의 사용, 연구모형의 제한성으로 인해 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을 통해 가족생활에서 종교의 역할을 파악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문헌검토 결과와 서구 논의를 토대로 향후 가족생활에서 종교의 역할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religion in family life through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on religion and families and to propose future research agenda. Specifically, 41 empirical research on religion and familie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journals between 1999 and 2016 were selected and topic areas, samples, measurements of religiosity, religious experiences investigated, research models, an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studies were reviewed. The research studies explored various topics including marriage preparation, marriage and marital relationship, parent-child relationship, parental role and childrearing, family stress and adjustment,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functioning. However, a significant number of research had some flaws in sampling, measurements of religiosity, or research model, and some did not follow analytical procedures rigorously. Consequently, understanding of how religion influences family life and shapes the experiences of families was limited. Using this 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and the major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addressed in the scholarship of religion and families in the West as a backdrop,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nd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dvancement required to better elucidate the linkage between religion and families in Korea.
키워드 종교, 영성, 결혼준비, 결혼, 가족 / religion, spirituality, families, marriage, marriage prepa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