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교회학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ㆍ유아ㆍ유치부 교사를 중심으로 -
영문 제목 Influence of Teaching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in Church School Teachers - with priority given to teachers in nursery, preschool and kindergarten departments -
저자 방은영 (Eun-Young Bang) (총신대학교 산업교육학부 교수)
다운로드 pdf FS22(3) 004 방은영 교회학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pdf (895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2권 3호 (통권 72호)
발행 년월 2017년 09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회학교 교사의 일반적 변인(교사 수, 교육이수, 주일 섬김 시간, 교인 수)에 따른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 및 교회학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초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S시와 K도에 소재한 교회학교의 영ㆍ유아ㆍ유치부 교사 61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배경 및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묻는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수거된 580부의 설문지 중 미 응답 문항과 이상치를 제거한 56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학교 교사의 일반적 변인(교사 수, 교육이수, 주일 섬김 시간, 교인 수) 모두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가운데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교사직을 수행함에 있어서 교사를 둘러 싼 직무환경의 고려가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수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소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교수자기 효능감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하위요소(의사결정 효능감, 훈육자기 효능감, 부모참여 효능감, 풍토조성 효능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among church school teachers in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general variables(the number of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hours for serving on Sundays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the impact of teaching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15 selected teachers in the nursery, preschool and kindergarten departments of church schools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and a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basic data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with questionnaires that covered general background,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answer sheets from 580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from 566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the answer sheets that were incomplete and/or included outlier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the general variables(the number of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hours for serving on Sundays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of the church school teac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s important to take the work environments of teachers into account in regard to their job performance. Second,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rd, as for the impact of the subfactors of teaching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four(decision-efficacy, disciplinary self-efficacy, parent- involvement efficacy and climate-creating efficacy) out of the five subfactor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and teaching self-efficacy was not influential.
키워드 교회학교 교사,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 church 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