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교회 내 장애인 부서의 운영 실태와 통합교육에 대한 담당 교사들의 인식
영문 제목 The Actual Operating Situation of the Disability Departm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Homeroom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in the Church
저자 김기흥 (Ki-Heung Kim) (부산교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다운로드 pdf 002김기흥(1228).pdf (576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2권 4호 (통권 73호)
발행 년월 2017년 12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회의 장애인부서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장애인부서 운영 실태와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와 K도에 소재하고 장애인부서가 설치ㆍ운영되고 있는 6개 교회의 총 10명의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은 장애인 부서 운영의 실태와 통합교육에 대한 담당교사들의 인식 등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회의 장애인 부서 운영 실태에 관한 인식에서, 첫째, 담당교사들은 장애인부서의 존재의미로는 장애인의 믿음생활에 핵심가치를 두고 있었다. 둘째, 장애인부서의 담당교사 수급에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로 인하여 많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장애인 부서의 주일 프로그램은 교회별, 담당교사별 공통점과 차이점이 함께 있었다. 넷째, 체계적인 교사교육(연수)을 통한 담당교사들의 전문성 강화는 시급하지만 담당교사의 개인적인 특성상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어서 통합교육에 대한 담당교사들의 인식과 관련하여,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수준은 단순하거나 불분명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보다는 교육현장의 현실적인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더 크게 각인되어 있었다. 셋째,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한 핵심적인 선결과제는 무엇보다도 교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장애인의 문제행동의 개선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epartment for disabled persons and the recognition on inclusive education of homeroom teachers in the chu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teachers in 6 churches which are located in B city and K Province and the department for disabled persons is being operated and they were interviewed personall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epartment for disabled persons and the recognition of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education.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cognition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epartment for disabled persons in the church, the teachers in charge put a core value in the faith life of the disabled people as the meaning of the department for disabled persons. Second, there were many practical difficulties due to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disabled. Third, the weekly program of the department for disabled persons ha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churches and homeroom teachers in charge. Fourth,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homeroom teachers in charge through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training) was urgent, but it was difficult in reality due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in charge. Subsequently, in the recogni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among the homeroom teachers in charge, first, the level of basic understanding about inclusive education was simple or unclear. Second, concerns about the realistic side effects in education site were more emphasized than expectations for positiv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Third, as the key priorities to successfully realize inclusive education emphasized, first of all, the change of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people of the church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 behavior of disabled people was emphasized.
키워드 통합교육, 교회학교, 장애학생 부서, 담당교사 / inclusive education, church school, department for disabled people, homeroom tea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