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교회학교 영아부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예장 고신 교단을 중심으로
영문 제목 A Survey Study on the Sunday School for Infants: For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저자 박미화 (Mi-Hwa Park)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하연희 (Yeon-Hee Ha)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권미량 (Mee-Ryang Kweon)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다운로드 pdf 박미화_교회학교 영아부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pdf (655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4권 1호 (통권 78호)
발행 년월 2019년 03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회학교 영아부를 담당하고 있는 교역자, 교사, 영아 부모를 대상으로 영아부 운영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통하여 영아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조사는 예장 고신교단에 속한 전국 교회 중 영아부를 운영하고 있는 21개 교회를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교회 영아부의 교역자 21명, 교사 143명, 부모 116명를 대상으로 전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실태조사는 영아부 운영관리, 가정과의 연계, 예배와 프로그램, 교육과정, 활성화 방안, 교육환경에 대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태 결과를 토대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적 요인인 교회 ‘장년 출석수’, ‘영아부 출석수’, ‘운영기간’, ‘교사수’, ‘공과교재 종류’, ‘교사1인당 영아 편성수’에 따른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환경적 요인인 ‘환경쾌적도’, ‘시청각 자료와 놀이교구 보유 및 활용 정도’, ‘간식의 위생수준’, ‘예배실 청결수준’에 따른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요인으로 볼 수 있는 ‘가정과의 소통정도’, ‘공과교재 만족도’, ‘예배와 프로그램 만족도’, ‘교사교육 만족도’에 따른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아부는 영아에게 적합한 교육환경이 잘 조성되며, 가정과의 소통 수준이 높고, 공과교재 및 예배와 프로그램과 교사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활성화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영아부 교역자와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영아부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영아부 활성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ality of Sunday school programs for infants in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PCK: kosin) in order to provide data base in vitalizing the current programs for infants in Sunday schools. The research subjects are ministers, teachers, par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used to find ways to activate the Sunday school for infants. The study randomly selected 21 churches among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operating infant department, distributed electronic questionnaires to 21 ministers, 143 teachers, and 116 parents. The actual situ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anagement of infant department, connection with home, worship and program, curriculum, activation pl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activation based on actual condition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ctivation according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attendance at church, number of attendance of infants, duration of operation, number of teachers, type of teaching materials and number of infants per teacher,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level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comfort’, ‘audiovisual data and playground equipment possessing and utilizing degree’, ‘sanitation level of snacks’, and ‘worship cleanness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level according to the internal factor ‘communication with home’, ‘satisfaction of the textbook’, ‘worship and program satisfaction’, and ‘teacher educati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fant department is more active in provid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fants, a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higher satisfaction in lesson materials, worship, programs, and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infant 's deprivation status and the factor of activation of infant' s depriv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키워드 교회학교, 영아부,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