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한국의 기독 청소년에 관한 연구 동향: 2001년부터 2020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영문 제목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hristian Adolescents in Korea – Focusing on Articles from 2001 to 2020
저자 오혜정 (Hye Jeong Oh) (총신대학교(Chongshin University)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다운로드 pdf 신앙과 학문 26-1(페이지 137-163)_오혜정.pdf (2.33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6권 1호 (통권 86호)
발행 년월 2021년 03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독 청소년을 연구한 선행논문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독 청소년 관련 연구과제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으로 기독 청소년에 관한 논문 총 138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 청소년에 관한 논문의 연도별 출현빈도는 2001년 2편에서 2020년 7편으로 대체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 청소년 관련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총 22종이었는데 주로 기독교신학과 기독교교육, 기독교상담 분야에 집중되었다. 셋째, 연구자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연구가 상당수였고, 연구자 대부분은 교수, 강사, 대학원생 등 대학에 소속되어 있었다. 2인 이상의 연구 중 대학 소속 연구자와 그 외 소속 연구자 간의 협업 논문은 6편에 불과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비경험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험적 연구 중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실험 연구의 순이었고 다섯째, 경험적 연구 61편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중·고등학생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고등학생, 중학생 등의 순이었다. 여섯째,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정서·행동 차원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영적 차원, 사회적 차원, 취약 청소년 지원, 문화적 차원, 역량 차원의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독 청소년에 관한 향후 연구과제로 연구의 양적 확대 및 연구주제 다각화, 취약 청소년을 위한 사역과 실천에 대한 연구관심 제고, 질적 연구 및 실험 연구의 활성화, 연구자(연구기관)와 사역 및 실천현장 간의 협업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Christian adolescents in Korea and explore tasks for future researches related to Christian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otal of 138 articles from 2001 to 2020 published in KCI accredited and candidated journal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20 years, researches on Christian adolescents has increased from 2 articles in 2001 to 7 articles in 2020. Second, articles on Christian adolescents were published totally 22 journals which were converged to the fields of Christian theology, Christian education and Christian counseling. Third, with regard to the researchers, considerable number of researche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most of whom were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e.g. professor, lecturer, graduate students, etc.). Collaborative researches between academic researchers and field researchers were only 6 articles.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non-empirical approaches were mainly used. Among empirical approache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the most used and the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Fifth, research subjects of 61 articles of empirical studies were mainly adolescents, who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ixth, main research topics studied in articles wer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spiritual aspects, social aspects, vulnerable adolescents, cultural aspects and competence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esent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Christian adolescents, which were research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enhancement of research interests on underprivileged adolescents and related practices, qualita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activation, and strengthening of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researchers, ministry and practice fields.
키워드 기독 청소년, 연구 동향, 기독교, 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