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을 적용한 기독교 청년의 성행동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영문 제목 Latent Profile Analysis of Perceptions of Sexual Behavior among Unmarried Young Christians
저자 조성봉 (Sung-Bong Cho)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조교수)
이수민 (Soo-Min Lee) (한동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강병덕 (Byung-Deok Kang)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부교수(교신저자))
다운로드 pdf 05.조성봉,이수민,강병덕_신앙과학문 27-4(p.121-154).pdf (7.58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사회과학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7권 4호 (통권 93호)
발행 년월 2022년 12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미혼 기독교 청년들이 성행동 관련 영역들에 대한 인식, 즉 스킨십에 대한 태도, 혼전/혼외 성관계에 대한 입장, 그리고 성관계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에 대한 인식에 따라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지 탐색하고, 그와 같은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P지역 기독교 대학과 지역교회들(세 교단, 여섯 교회)에 출석하는 기독교 청년들 5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그들의 성행동 관련 영역들에 대한 인식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분류된 집단들을 각각 일치형, 모호형, 불일치형으로 명명하였다.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영적 성숙도과 근본주의적 복음주의 신앙 동의 정도, 그리고 예배참석빈도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일치형 집단에 속한 청년들은 다른 집단의 청년들에 비해 결혼/출산의향 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perceptions of sexual behaviors of unmarried young Christians, exploring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group differences and testing possible between-group differences on attitude toward marriage, marriage & child-bearing intentions, and child-rearing expectation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567 unmarried Christia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congruent, ambiguous, and inconsistent—based on six questions in three sub-categories, which were Christian perspectives on sex, disagreement on premarital/extramarital sex, and conservative attitude on physical touch. The congruent group reported highest scores on the three-sub categories; inconsistent group showed relatively high scores on Christian perspectives on sex while showing very low scores on conservative attitude on physical touch. Ambiguous group reported relatively high scores on conservative attitude on physical touch, showing relatively low scores on Christian perspectives on sex.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piritual maturity, fundamental evangelicalism, and worship service attendance were found to be predictors of group differences. Lastly, young Christians in the congru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ttitude toward marriage, marriage & child-bearing intentions, and child-rearing expectations compared to ambiguous and inconsistent group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make a few suggestions related to Christian sex education and discussions.
키워드 미혼 기독교 청년, 성행동, 인식, 신앙